Article

임대주택 단지 일자리사업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SH공사 희망돌보미 심층면담조사를 중심으로*

문예찬 1 , *
Yechan Moon 1 ,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과정, ans3981@naver.com
1Ph.D. Student,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Yonsei University, ans3981@naver.com
*Corresponding author : ans3981@naver.com

© Copyright 2023 Housing Finance Research Institute, 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30, 2023; Revised: Dec 07, 2023; Accepted: Dec 22, 2023

Published Online: Dec 31, 2023

요 약

SH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는 희망돌보미 사업을 통해 임대주택 연계 일자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소외계층의 사회 참여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며, 사업 참여자들은 일의 가치와 일상생활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일자리 사업을 직접 경험한 참여자의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은 반구조화된 면담이며, 눈덩이 표집 방법을 채택하여 면담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들은 노동을 통해 자아실현, 내적 만족감 제고 등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공공일자리 사업이 경제적, 복지적 측면을 넘어 개인의 가치 탐색으로도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희망돌보미 사업 모델을 확장하여 삶의 맥락 속에서 일자리 진행을 병행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전달하였다.

Abstract

The SH Corporation has actively implemented a housing-linked employment initiative through its Heemang Dolbomi project. With the overarching goal of increasing social participation among marginalized groups, participants in this initiative have experienced newfound appreciation for work and witnessed substantial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This study delves into the firsthand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who have directly engaged with the employment initiative, focusing on those involved in the Heemang Dolbomi project. The primary research method employed wa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snowball sampling was used to select participa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participants in the Heemang Dolbomi project experienced self-realization and greater inner satisfaction through their engagement in labor. This indicates that public employment projects can extend beyond economic and welfare aspects to encompass personal value exploration. This study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by proposing the expansion of the Heemang Dolbomi project model and recommending the integration of job provision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individuals’ lives.

Keywords: 임대주택; 일자리사업; 희망돌보미; SH공사
Keywords: Rental Housing; Employment Projects; Heemang Dolbomi; SH Corporation

Ⅰ. 서론

한국 사회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중앙정부 혹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고령층을 위한 일자리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시는 2019년 <서울특별시 장년층 인생이모작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여 장년층의 일자리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서울특별시, 2019). 특히, SH 서울주택도시공사(SH 공사)는 임대주택과 연계하여 중장년/고령층이 다수 참여하는 일자리 사업을 운영한다. SH공사는 임대주택 사업과 연계하여 일자리사업을 함께 진행하고 있는데, 주거복지 사업의 일환으로 희망돌보미 사업을 운영한다.

SH공사의 일자리사업은 다른 사업과 달리 임대주택과 연계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주택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희망돌보미와 같이 임대주택과 연계한 일자리사업이 드물고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일자리사업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임대주택 단지 내에서 진행되는 일자리사업을 조명하지 못하였다. 선행연구는 고학력 여성, 경력단절 여성 등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대상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단절된 경력이나 전문성을 다시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이민정‧김정현, 2020; 이은숙‧정지영, 2018). 비교적 낮은 사회경제적 배경을 지닌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경우, 노동조건, 노동시장의 특성 등 거시적 측면에 초점 맞췄다(조옥라, 2006). 기존 연구는 전문성이 낮은 중장년/고령층이 참여하는 일자리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다루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임대주택 단지 내 일자리 사업을 살펴봄과 동시에,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전문성이 낮은 중장년/고령층의 일자리 경험이 노동의 가치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둔다. 본 연구는 중장년/고령층의 참여가 두드러지는 환경관리 희망돌보미 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면담 대상자 참여 선정은 지인의 소개와 추천을 받아 눈덩이 표집(snowballing sampling)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후, 반복적 비교분석법과 포괄적 분석 절차를 절충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업 참여자들은 임대주택 단지 일자리 사업을 통해 일의 가치와 일상생활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들은 노동을 통해 내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고, 자아 실현을 성취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공공일자리 사업이 경제적, 복지적 측면을 넘어 개인의 가치 탐색으로도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임대주택 단지 내에서 이루어지는 희망돌보미 사업의 특성을 활용하여, 삶의 맥락 속에서 일자리 진행을 병행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전달하였다.

한편, 중장년/고령층을 대상으로 진행된 기존의 일자리사업은 은퇴 이후의 빈곤, 경제적 활동 중단에 따른 상실감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에서 논의되었다(강수향·김지선, 2021). 즉, 일반적으로 노동은 자아실현이나 자기만족, 성취감 등의 가치가 함께 다루어지지만(고현범, 2011), 고령 세대의 일자리사업은 이러한 측면을 충분히 논의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중장년/고령층 세대가 참여하는 공공일자리 사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희망돌보미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 참여자가 느끼는 노동의 가치와 삶의 변화 등 일자리사업이 주는 긍정적 효과를 발견하고 일자리사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2장에서는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방법 및 분석틀을 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논의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와 차별성을 제시하는 동시에, 심층면담 조사의 전개과정 및 면담 내용의 분석방법을 설명한다. 3장에서는 희망돌보미 사업 개요 및 추진현황을 제시하며 희망돌보미 사업에 대한 배경과 정보를 전달한다. 4장에서는 심층면담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임대주택 단지 일자리사업의 특성을 논의한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반 일자리사업과 차별화된 임대주택 단지 일자리사업의 특성과 발전방향을 제언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선행연구

중장년 혹은 고령세대 일자리사업에 관한 선행연구는 고학력, 경력단절 등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대상을 중심으로 논의되었고, 희망돌보미와 같이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는 일자리사업은 활발히 논의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선행연구는 고학력 퇴직여성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진로전환 경험을 논의하거나(이은숙·정지영, 2018), 경력단절 경험을 가진 중장년 여성의 창업 사례를 분석하였다(이민정·김정현, 2020). 또한, 퇴직공무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퇴직자들의 이전 경력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사업 방향을 제안하였다(이병길·김영석, 2019). 즉, 선행연구는 경력이나 전문성을 지닌 사람들의 경험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문성이 높지 않은 저학력 중장년 여성들의 노동 경험을 다룬 기존 연구 역시 노동시장의 특성, 노동자의 노동조건 등 거시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있으며(조옥라, 2006), 참여자의 관점에서 노동의 가치나 일상생활에서의 변화를 주목하지 못하였다. 한편, 중장년 및 고령 세대의 일자리사업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통계적으로 제시하기는 하였으나(이경희, 2017), 구체적으로 어떤 일자리 특성이 참여자들에게 만족을 주는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중장년 일자리에 관한 기존 연구는 일의 가치를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됨에 주목하여, 은퇴를 경험한 중장년은 일의 의미를 사회 지향적, 공동체 지향적으로 인식하게 된다고 분석하였다(우국희, 2007). 또한, 고연령 중장년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는 여성들은 가족 때문에 일을 하게 되며, 가족과 연계된 노동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한다고 논의하였다(조옥라, 2006). 노인일자리 사업에 관한 기존 연구는 일자리를 통해 삶의 질, 삶의 만족도, 이웃관계 등의 개선 등을 통한 일자리사업의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참여 경험을 다룬 연구가 진행되며, 사업 참여자들이 일자리사업을 통해 느끼는 일의 가치를 분석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강수향·김지선(2021)은 일의 가치를 돈을 벌게 해주는 일, 일하는 존재가 된다는 것, 일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자아 등으로 구분하며, 일자리사업 참여자가 노동 경험을 통해 스스로 가치를 느끼게 된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간순옥(2013)은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연구, 삶의 질을 자아존중감, 건강, 가족관계, 대인관계, 경제상태, 여가생활 등으로 구분하였고, 일자리 참여에 따른 경제적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고 결론내렸다.

그러나, 여전히 중장년 일자리, 노인 일자리 등 중장년 및 고령 세대가 참여하는 일자리사업을 다룬 기존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대상이 일자리사업에 참여하며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논의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의 경험을 청취하며 개인의 삶의 맥락에서 일자리 참여가 어떻게 작용했는지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희망돌보미 참여자들은 공공일자리를 통한 자아실현, 내적 만족감 제고 등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 주목하여 중장년 및 고령 세대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의 노동 경험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 제기한다.

본 연구는 심층면접을 통해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들의 이전의 노동 경험, 삶의 여정, 사회경제적 지위 등을 희망돌보미 사업과 연관시키며 노동 경험의 가치를 탐색한다. 특히,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노동 참여의 가치, 일상에서의 변화 등에 주목하여 사업 참여 이후 태도 및 관점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희망돌보미 사업의 경우, SH공사 입주민에게만 제공되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주거와 연계된 일자리사업의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기존 연구에서 논의한 일반적인 일자리사업과 다른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다른 일자리사업과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논의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2. 연구방법 및 분석틀(framework)

본 연구는 심층면담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은 인간 행위나 사회현상에 대해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인간의 삶과 경험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 수집에 용이하기 때문이다(김영천, 2016).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참여자의 일상 활동, 사건, 장소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연구참여자의 경험의 맥락을 탐색하여 숨겨진 의미 도출이 가능하다(김인숙, 2016). 본 연구는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구조화된 면담과 비구조화된 면담의 중간 성격을 띠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반구조화된 면담의 경우, 미리 준비한 구조화된 질문을 활용하여 연구 목적과 일치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연구참여자의 생각이나 경험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질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된다(김영천, 2016; 유기웅 외, 2018).

심층면담은 2021년 5월 29일부터 7월 6일까지 약 6주간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모든 면담에서는 연구참여자의 동의를 얻은 후 녹음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심층면담 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사전에 연구 목적을 자세히 설명하였고, 연구참여자의 동의를 얻은 후 면담을 진행하였다. SH공사 담당자, SH 임대주택 관리사무소 등에 연락하며 심층면담 참여자 선정을 하였으며, 연령과 지역별 차이에 따른 면담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심층면담 참여자의 지인, 지인의 지인, 지인의 지인의 지인을 통해 면담 대상자를 확보하였다. 희망돌보미 사업 관계자 및 심층면담 참여자의 소개와 추천을 받아 눈덩이 표집(snowballing sampling) 방법을 중심으로 면담 참여자를 선정하였다(<표 1>).

표 1. 심층면담 참여자 명단
구분 나이 성별 지역 참여경험과 담당업무
연구참여자 1 65세 서울 서초구 2021년도 참여/환경관리
연구참여자 2 52세 서울 서초구 2021년도 참여/환경관리
연구참여자 3 62세 서울 서초구 2021년도 참여/환경관리
연구참여자 4 57세 서울 구로구 2021년도 참여/환경관리
연구참여자 5 63세 서울 구로구 2021년도 참여/환경관리
연구참여자 6 63세 서울 구로구 2021년도 참여/환경관리
연구참여자 7 57세 서울 구로구 2021년도 참여/환경관리
Download Excel Table

본 연구는 반복적 비교분석법과 포괄적 분석 절차를 절충한 분석틀 마련하였다. 반복적 비교분석법은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 등 세가지 과정을 거치며 진행한다. 개방 코딩은 자료 수집을 통해 확보한 자료에 이름을 붙이고 해당 자료를 주제별로 분류하는 작업이며(Strauss & Corbin, 1990), 범주화는 개방 코딩을 거친 다수의 자료를 특정 범주로 묶는 작업으로, 코딩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꾸준히 비교한다. 범주 확인은 범주화를 통해 구성된 범주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집된 자료의 특성을 잘 설명하고 있는지 다시 확인하는 과정이다(유기웅 외, 2018). 김영천(2016)은 반복적 비교분석법과 유사한 포괄적 분석 절차를 제시하며, 1) 자료 읽기/정리 2) 분석적 메모 쓰기 3) 1차 코딩 4) 2차 코딩 5) 3차 코딩 6) 연구 결과 재현 등 총 6가지 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고 논의하였다. 자료 읽기/정리와 분석적 메모 쓰기 작업은 개방 코딩의 사전작업이라 할 수 있으며, 1차~3차 코딩은 반복적인 코딩을 통한 수집된 자료의 범주화를 진행하는 과정이다. 1차~3차 코딩은 최종적으로 하나의 문화적 주제나 이론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며, 그 안에서 수집된 자료가 올바른 범주를 형성했는지 판단하는 범주 확인의 절차를 거친다.

본 연구는 반복적 비교분석법과 포괄적 분석 절차를 함께 활용했으며, 질적 연구의 분석과 자료 수집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Bogdan & Biklen(2006)Merriam & Tisdell(2015)에 따르면, 질적 연구의 분석은 자료 수집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자료 수집 과정 중에서 연구 목적에 부합한 자료 수집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해 확보한 자료가 연구 목적에 맞게 수집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추가적으로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 경우 자료 수집 방법을 수정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연구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우선 개방 코딩 이전에 자료를 읽고 정리하는 전사 작업(transcribing)을 수행하고, 전사 작업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된 자료를 보며 분석적 메모 쓰기를 실시하였다. 전사 작업은 질적 자료 분석의 첫 단계이자 주요한 한 과정으로서 자료의 기록과 저장 역할을 하며, 수집된 자료와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자료 분석의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발전시킨다(김영천, 2016). 분석적 메모 쓰기는 분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반성과 성찰 등을 메모의 형식으로 기록한 것으로, 코딩 과정에 대한 연구자의 반성과 보고이며(Saldaña, 2009), 이러한 특성은 수집된 자료를 읽으며 연구자의 생각과 질문을 작성하는 개방 코딩의 첫 단계와 유사하다.

이후 개방 코딩 단계에서는 분석적 메모 쓰기에서 작성한 메모를 중심으로 수집된 자료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코딩의 이름을 부여한다. 개방 코딩 이후, 1차, 2차 코딩도 함께 진행하여 지속적으로 자료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절차를 거치며 범주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1차 코딩의 핵심 활동은 수집된 자료에서 코드와 범주를 생성하는 것이며, 2차 코딩은 범주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서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총 3차례의 코딩 절차를 거치며, 전사된 인터뷰 내용에 관한 다양한 코드를 각기 다른 범주로 분류하고 다수의 코드를 포함시킬 수 있는 상위 범주를 형성한다. 복수의 주제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상위 범주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코딩된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비교해야 하며, 수집된 자료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범주화는 미리 자료들을 설명할 수 있는 범주를 만든 후 해당 범주에 알맞은 자료들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수집된 자료들을 먼저 분석하고 이 자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상위 범주를 마련하는 귀납적 작업으로 이루어진다(유기웅 외, 2018). 범주화 이후에는 3차 코딩과 함께 범주 확인 과정을 거치며,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범주 확인은 연구자가 구성한 범주와 수집된 자료를 비교, 설정한 범주가 자료들을 잘 설명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범주를 확정,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범주를 수정한다. 3차 코딩에서는 1,2차 코딩을 통해 얻은 정보를 토대로 최종적 결과물인 이론이나 문화적 주제, 패턴 등을 제시하며(김영천, 2016), 3차 코딩은 범주 확인 과정과 함께 진행될 때, 최종적 결과물을 통해 연구자는 범주화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 재현에서는 1차~3차 코딩을 거쳐 만들어진 최종적 결과물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본 연구에서 활용한 연구분석틀은 <그림 1>과 같다.

hfr-7-2-155-g1
그림 1. 연구분석틀(framework) 주: 김영천(2016)유기웅 외(2018)를 종합하여 저자 재가공.
Download Original Figure

Ⅲ. 희망돌보미 사업 개요 및 추진현황

희망돌보미 사업은 SH공사에서 진행하는 주거복지사업으로, SH공사 임대주택 입주자에 한해 지원이 가능하다. 업무는 환경관리, 사무지원, 취약계층돌봄 등 3가지 형태로 진행되며, 사업 참여 경험이 없는 사람을 우선 선발한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고령층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일자리 참여를 통해 노인 우울증 및 자살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환경관리, 사무지원, 취약계층돌봄 등 세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 희망돌보미 사업 중에서도 환경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다. 환경관리 희망돌보미는 임대주택 단지 내에서 쓰레기 정리, 임대주택 내 공가(公家) 청소 등을 주요 업무로 하며, 사무지원, 취약계층돌봄과 달리 업무능력이나 자격증 등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중장년, 고령층의 참여가 높다.

한편, SH공사는 지난 2020년 사무지원, 환경관리 분야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 405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전반적인 만족도’, ‘근무시간 만족도’, ‘담당자 만족도’ 등 3가지 내용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업 참여자들은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등 5가지 중 하나로 답변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사무지원, 환경관리 분야 모두 대체적으로 희망돌보미 사업에 관해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만족도의 경우, 사무지원, 환경관리 사업 참여자가 만족한 비율(매우 만족+만족)은 각각 67%, 80%를 기록하였다. 근무시간에 관해서는 사무지원 참여자는 71%, 환경관리 참여자는 75% 만족하였고, 담당자 만족도는 사무지원은 75%, 환경관리는 87%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각 항목에 관해 불만족하거나 매우 불만족한 경우는 전체의 10% 이하를 기록하였다.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들은 대부분 업무 내용이나 환경에 만족하는 것으로 보이나, 고용기간과 급여수준에 관해서는 다소 불만족한 모습이 나타났다. 주관식 설문조사에서, 일부 사업 참여자들은 짧은 고용기간으로 인한 고용 불안정, 근무일수, 휴게공간 등을 불만족 요인으로 제시하였으며, 향후 사업 전개에 있어, 고용 불안정을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다만, 희망돌보미 사업은 참여자들의 불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그림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환경관리 희망돌보미의 ‘매우 만족’ 점수는 ‘전반적인 만족도’와 ‘근무시간 만족도’, ‘담당자 만족도’ 등 모든 분야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이는 환경관리 희망돌보미들은 업무 수행이나 업무시간 운용에 있어 높은 만족도를 느끼고 있으며, 환경관리 희망돌보미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심층면담을 통해 환경관리 희망돌보미들이 어떠한 부분에 대해 높은 만족감을 느끼고 있는지 논의하고 참여자들이 느끼는 일과 삶의 가치를 파악하고자 한다.

hfr-7-2-155-g2
그림 2.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 만족도 조사 결과 주: 서울특별시 SH공사(2016, 2019, 2020, 2021) 희망돌보미 사업 추진계획 자료를 토대로 저자 재가공.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을 각각 ‘5점’, ‘4점’, ‘3점’, ‘2점’, ‘1점’으로 점수화하여 그래프로 나타냄.
Download Original Figure

Ⅳ. 희망돌보미 사업 심층면담조사 결과

1. 희망돌보미 참여자들의 사회경제적 요인 및 사업 참여 맥락

희망돌보미 사업 신청자격은 SH공사 임대주택 거주 입주민이며, 임대주택 입주를 위해서는 소득기준과 부동산, 자동차 등의 자산기준에 부합해야 한다.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의 경제적 여건은 매우 열악하고 불안하며, 대부분 비정규직, 파트타임 등 불안정한 경제활동을 진행하고, 가구별 평균소득은 약 100만 원 수준이다(김윤중·하서진, 2020). 심층면담을 진행한 희망돌보미 참여자들 역시 백화점 캐셔, 마트 판매원, 요양보호사, 아이돌보미 등 비정규직이나 파트타임이 주를 이루거나 정부 지원을 받는 일자리사업에 참여하였다.1) 낮은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참여할 수 있는 일자리사업이 제한적이며, 희망돌보미 사업은 경제활동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면담 참여자들은 이전에도 비정규직 업무에 종사하며 안정적인 경제활동을 진행하지 못했으며, 돈을 벌 수 있을 때 벌어야 한다는 생각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낮은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돈을 벌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사업에 참여했으며, 희망돌보미 역시 그 일환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떠한 맥락에서 희망돌보미 사업에 참여하게 되었는가? 면담을 통해 총 6가지의 특성을 발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가정 돌봄과 병행할 수 있는 일’이다. 사업 참여자들은 개인의 삶의 맥락 속에서 필요한 부분을 희망돌보미 사업이 충족시켜 줄 수 있음을 확인하며 참여를 결정하였다. 특히, 기혼이며 자녀가 있는 참여자의 경우 희망돌보미 사업을 통해 일과 가정이 양립 가능한 삶을 형성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 4는 장애 아동을 돌보는 시간을 확보해야 했기 때문에, 전일제 근무와 원거리 통근을 요구하는 일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희망돌보미의 경우, 일정 시간만 근무할 수 있고 집 근처에서 업무를 진행하기 때문에 경제활동과 자녀 돌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 7은 몸이 불편한 남편과 자녀를 돌봐야 하는 상황에 있었기 때문에, 가정 돌봄과 병행할 수 있는 일자리사업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희망돌보미의 경우, 전일제 근무가 아니기 때문에 가정 돌봄과 경제활동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었다.

또한, 희망돌보미는 ‘다른 경제활동과 병행할 수 있는 일’이다. 경제활동을 통해 생활비를 마련해야 하는 연구참여자 1은 희망돌보미 사업과 요양보호사 업무를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연구참여자 3 역시 희망돌보미와 아이돌보미 활동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오전 시간에만 근무할 수 있고, 근무 요일 역시 주 3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른 일자리와 함께 진행이 가능하다. 희망돌보미 이외의 다른 일을 하고 있는 참여자들은 주 5일 근무하지 않아도 되고 근무시간이 짧은 희망돌보미 사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집 앞에서 이루어지는 일’의 특성이 희망돌보미 참여를 이끌어냈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SH공사 임대주택 내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주거공간과 업무공간이 매우 가깝다. 또한, 사업 참여자들은 사람들과 만나며 활력을 얻기도 하였다. 암 환자인 연구참여자 2는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 삶의 활력소가 필요하였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무언가에 집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줌은 물론, 주거단지를 돌아다니면서 활력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여 사업에 지원하였다. 연구참여자 5는 코로나로 인해 무기력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고 삶의 활력을 되찾기 위한 일환으로 희망돌보미 사업에 지원하였다. 주거단지에서 일을 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이야기할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이를 통해 무기력한 삶의 모습을 극복을 기대하였다.

주거공간과 업무공간이 가깝다는 희망돌보미 사업의 특성은 일부 참여자에게 관심을 끄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연구참여자 1은 희망돌보미 사업의 근무공간이 주거공간과 가깝기 때문에 기존 경제활동과 병행하며 진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다. 연구참여자 3은 허리 디스크가 있어 대중교통을 이용한 장거리 이동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나, 희망돌보미 사업이 집 근처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사업 참여를 결정하였다.

‘여가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일’, ‘믿을 수 있는 기관에서 진행하는 일’, ‘돈을 벌 수 있는 일’ 등의 요인 또한 희망돌보미 참여에 기여하였다. 예를 들어, 연구참여자 6은 노동시간과 개인시간의 균형을 강조하며, 8시간 전일제 근무에 대한 부담을 느꼈다. 그러나, 희망돌보미의 경우, 오전 시간만 근무할 수 있어 충분한 여가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SH공사에서 진행하는 일자리사업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희망돌보미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연구참여자 5는 높은 연령으로 인해 일자리사업 참여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고 있었으나, 공신력이 있는 SH공사에서 진행하는 일자리사업이라는 점에서 사업 진행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었고 희망돌보미에 지원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요인이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연구참여자 5는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 이전에 사업을 하며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었고 경제적 공백을 메우고자 희망돌보미 사업에 참여하였다(<그림 3>).

hfr-7-2-155-g3
그림 3.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 요인
Download Original Figure
2. 희망돌보미 사업을 통한 일의 가치 인식과 일상생활의 변화

희망돌보미 참여자들은 사업 참여를 통해 다양한 일의 가치를 인식하였다. ‘일을 통한 보람’, ‘삶의 맥락에 스며든 일’, ‘사람을 만나게 해주는 일’, ‘나의 생각을 바꾸게 해주는 일’ 등에 대한 가치를 느꼈으며,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보람, 뿌듯함, 자부심 등을 느끼며 노동에 가치를 부여하였다. 예를 들어, 참여자들은 희망돌보미 업무 전후 모습을 비교하며 만족감을 느꼈다. 연구참여자 1은 쓰레기를 줍고 난 뒤 깨끗해진 거리를 보며 보람을 느꼈고, 아파트 단지 내 주변 사람들에게 격려를 받으며 동기부여를 얻기도 하였다. 연구참여자 3 역시 청소를 하고 난 후에 변화된 모습을 보며 보람과 뿌듯함을 느꼈다. 그는 아이돌보미, 요양보호사, 방문판매원 등 다양한 일자리 경험이 있지만, 희망돌보미로 활동하면서 다른 일에 비해 더 큰 보람을 느꼈다고 밝혔다. 일을 통해 보람을 느낀 이유는 환경관리 희망돌보미가 진행하는 업무의 특성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환경관리 희망돌보미는 쓰레기를 치우며 즉각적으로 변화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청소 이후의 깨끗해진 거리, 나뭇가지를 자른 후 깔끔해진 나무 등의 모습을 통해 보람을 느끼며 일의 가치를 인식하였다.

일을 통한 보람은 ‘돈을 벌 수 있는 일’을 통해서도 느낄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희망돌보미 사업을 통해 돈을 벌며 스스로 생활에 보탬이 된다는 자부심을 느꼈다. 즉, 청소 이후의 모습을 보며 느끼는 뿌듯함도 있지만, 이와 더불어 경제활동을 통해 형성되는 보람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참여자들은 희망돌보미 일을 삶과 구분되어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맥락 속에서 일을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 2는 맞벌이 부부이며, 코로나19로 인해 아이들이 학교를 가지 않는 상황에 있어, 집안일, 아이 돌봄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였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출근시간이 짧고 주거공간과 가까운 곳에서 업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집안일이나 아이 돌봄 등을 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었다. 연구참여자 4는 장애아동을 돌봐야하기 때문에 아이 돌봄을 할 수 있는 여건 확보가 일자리 선택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희망돌보미 사업은 다른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병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었다. 연구참여자 1과 3은 희망돌보미 사업이 집에서 가까운 곳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기존 경제활동과 병행할 수 있었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삶의 맥락 속에서 다른 일들과 상충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의 삶 속에서 조화로운 모습을 보이는 특징을 보였다. 희망돌보미는 매일 근무하지 않아도 되고, 근무시간도 탄력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삶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닌다. 참여자들 역시 일과 삶을 분리하여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구축하고 있던 삶의 맥락 속에서 희망돌보미 사업에 추가적으로 참여하며 ‘삶의 맥락에 스며든 일’을 인식하였다. 이 외에도, 참여자들은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를 통해 일자리와 노동의 가치에 대한 고정관념을 해소할 수 있었다. 일부 참여자들은 환경관리 업무에 대한 편견을 갖고 있었으며, 이러한 생각은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를 고민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를 통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환경관리 업무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희망돌보미가 SH공사 임대주택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참여자와 주민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일자리의 특성은 참여자들이 일의 가치를 인식하는 데 기여하였다. 희망돌보미들은 업무공간에서 마을 주민과 자주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수 있으며, 특히 마을 주민들로부터 희망돌보미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일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 연구참여자 2는 임대주택단지에서 희망돌보미로 활동하며, 마을 주민으로부터 동네가 깨끗해졌다는 이야기를 전달받는 경우가 있었고 이를 통해 노동에 대한 보람과 뿌듯함을 인식하였다. 또한, 희망돌보미 사업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그 안에서 대인관계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마을 주민들과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함은 물론, 함께 일을 하는 동료 희망돌보미와도 인간관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같이 이야기를 하며 친해지고, 희망돌보미 사업은 정보를 공유하는 장을 제공하였으며, 참여자들은 많은 사람들과 만나며 이야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무료함이 적고 정신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체험하였다.

한편, 이러한 특성은 임대주택단지와 일반 단지 간 주민들의 통합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임대주택단지 내 일반 분양단지와 임대단지 주민들의 통합을 위해서는 다양한 지역 혹은 공동체 기반 프로그램과 자연스러운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적 자본 형성이 필요하다(김정화·이현석, 2021). 임대주택 단지 내 일자리 사업은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주요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도, 희망돌보미 참여자들은 사업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행동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예를 들어, 담배꽁초를 줍는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의 경우, 담배꽁초가 버려지는 상황을 여러번 목격한 이후, 자녀들에게 쓰레기 정리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즉, 참여자의 경험은 일상생활에서도 주변 사람들에게 환경관리의 필요성을 전달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일부 참여자들은 평소 쓰레기 줍기 등 환경관리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 이후 점차 환경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희망돌보미 사업을 통해 참여자들의 관점 및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환경관리에 관한 노동 경험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며 일상생활에서 도로를 보는 관점이 변화되었다. 연구참여자 2는 평소보다 쓰레기를 자주 발견하였다고 밝혔고, 어디서나 비닐봉지를 들고 다녀야겠다고 생각하였다. 연구참여자 1은 도로가 지저분하기 때문에 돈을 떠나서 청소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참여자들은 직접 도로를 청소하며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 이전과 다른 일상생활의 변화를 스스로 느꼈다. 연구참여자 6, 7은 희망돌보미 사업을 통해 일자리 자체에 대한 인식을 바꾸며 다른 일자리 참여에 대한 관심을 보이거나 자신감 있는 모습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희망돌보미를 통해 참여자들은 전문성을 탐색하거나 일상생활에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참여자들은 희망돌보미 사업에 참여하며 노동에 관한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예를 들어, 효율적인 청소를 위해 스스로 고민하며,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특히, 연구참여자 7의 경우, 유튜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환경관리에 대한 전문성을 높였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용하였다. 또한, 희망돌보미 사업에서 지속적으로 수행해온 업무 경험을 토대로 노하우를 축적하는 경우도 있었다(<그림 4>).

hfr-7-2-155-g4
그림 4. 희망돌보미 사업을 통해 경험한 일의 가치
Download Original Figure
3. 소결

심층면담을 통해 희망돌보미 참여자들의 사회경제적 요인 및 사업 참여 맥락과 함께 희망돌보미 사업을 통한 일의 가치 인식 및 일상생활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면담 결과를 유형화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업 만족도 및 발전방향을 논의할 수 있다. <그림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환경관리 희망돌보미는 다른 분야에 비해 비교적 사업 만족도가 높다. 이는 환경관리 희망돌보미가 지닌 특성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심층면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희망돌보미는 삶의 맥락에서 병행이 가능한 일이다. 희망돌보미는 다른 경제활동은 물론, 가정 돌봄 등과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준다. 이를 통해, 경제적 유인과 노동 환경 유인을 동시에 충족시켜준다. 특히, 임대주택 단지 내에서 일자리 사업이 전개되는 특성은 다양한 삶의 맥락에서 다른 일들과 병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예를 들어, 맞벌이 부부여서 집안일과 아이 돌봄을 해야하는 참여자는, 짧은 통근시간 덕분에 다양한 일들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었다. 장애 아동 돌봄을 해야하는 참여자 역시 출퇴근 시간이 짧아 충분한 돌봄 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희망돌보미는 보람을 느끼는 일이다. 우선, 환경관리 희망돌보미는 다른 일자리 사업과 마찬가지로, 직접 경제활동에 참여함으로서 뿌듯함을 경험한다. 이에 더해, 참여자들은 업무의 특성으로 인해 비교적 높은 내적 만족도를 느꼈다. 희망돌보미는 임대주택 내 환경관리 업무를 맡아 아파트 단지의 거리 청소, 나뭇가지 정리 등 청소 전후의 차이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일을 할 때가 많다. 이에 따라, 참여자들은 변화된 모습을 보며 뿌듯함을 느끼며, 일을 통한 보람을 경험하였다.

이 외에도 희망돌보미는 변화를 가져다주는 일이다. 희망돌보미 참여자들은 일상생활에서 행동의 변화는 물론, 관점 및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환경관리 업무를 수행한 이후, 참여자들은 가족 등 주변 사람들에게 환경관리의 필요성을 전달하기도 했으며, 환경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일상생활에서도 쓰레기를 줍는 등 환경 보호 활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일자리 사업을 넘어, 평상시에도 직접 도로를 청소하고 비닐봉지를 들고 다니며 담배꽁초를 줍고 싶다는 생각의 변화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환경 관리에 대한 전문성 탐색으로 이어지며, 일부 참여자들은 환경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시간을 들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희망돌보미의 특성은 임대주택 내 일자리 사업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기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주거공간과 근무공간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참여자들은 짧은 출퇴근 시간에 따라 여유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개인의 삶에 스며든 일을 성취할 수 있었다. 또한, 임대주택 내 환경관리 업무를 맡으며, 변화 차이가 두드러진 업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특히, 주거공간과 근무공간이 동일하기 때문에, 참여자들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노동의 가치를 확인하며 행동의 변화 및 관점 및 인식의 변화를 도출하였다. 희망돌보미 일자리 사업의 모델은 SH공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택단지와의 연계를 통해 확대 및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참여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내고 공공일자리 사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Ⅴ. 결론: 공공일자리 사업의 발전방향과 과제

희망돌보미 사업은 참여자들에게 기존 일자리 연구와 마찬가지로 참여자의 직업적 보람 등 노동의 가치를 확인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장연우·임해영, 2021). 그러나 심층면담 결과, 사업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환경관리 업무의 특성에서 기인한 보람과 뿌듯함을 경험하는 모습을 보였다. 청소 업무의 특성상, 청소 이후의 깨끗해진 모습을 가시적이고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보람을 지속적으로 경험하였다. 특히, 희망돌보미 사업이 임대주택단지에서 이루어지는 노동이라는 점에서, 동네 주민들로부터 칭찬과 격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이 느끼는 보람을 제고하였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기존 연구가 제시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경제력 확보 및 활력 제공에 기여하였고, 스스로의 가치를 인식하는 시간을 제공하였다(강수향·김지선, 2021; 안희란, 2018). 그러나 희망돌보미 사업은 기존 연구가 논의하지 않은 행동의 변화와 생각, 관점의 변화를 도출하며 기존 일자리사업과 다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업 참여자는 환경관리 업무를 하며, 일상생활에서의 행동 변화를 인식하였다. 예를 들어, 업무시간 이외에도 쓰레기를 줍고 쓰레기에 관한 이야기를 지인에게 전달하며, 가족들에게 쓰레기를 버리지 말라고 이야기하는 등 사업 이전과는 다른 행동 양식을 보였다. 이 외에도 희망돌보미 사업에 참여하며 다른 일자리 참여에 관한 관심과 자신감이 생기기도 하였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다른 일자리사업 진입을 위한 디딤돌로 작용하며, 스스로 노동을 지속할 수 있다는 생각의 전환을 전달하였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사업 참여자의 보람을 높여주며, 다양한 측면에서 일상생활에 변화를 가져다주는 일자리라고 할 수 있다. 심층면담 분석 결과, 다른 일자리와 구별되는 희망돌보미 사업만의 특성을 발견하였다.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는 직업적 보람과 뿌듯함을 지속적으로 경험하고 있으며, 임대주택 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업무에 관한 칭찬과 독려를 통한 유인을 획득하였고, 이러한 특성은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다(이소정, 2013). 또한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 이후, 일상생활의 행동이나 생활패턴이 변화되었음을 인식하였고, 관점과 생각의 변화 역시 이루어졌다. 이러한 희망돌보미 사업의 특성은 <그림 2>에서 나타난 참여자들의 높은 만족도로 귀결됐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희망돌보미 사업은 사업의 특성이 참여자들에게 미친 영향이 다른 일자리사업과 구분된다. 희망돌보미 사업의 특성은 다양한 삶의 맥락 속에서 스며들 수 있는 기제로 활용할 수 있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개인이 지닌 삶의 특성, 사정 등을 고려, 참여자들의 다양한 활동과 공존이 가능하다. 희망돌보미 사업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은 향후 중장년 및 고령 세대 일자리 발굴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기존 연구가 논의한 일자리사업과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참여자들은 다른 일자리에 비해 보람을 더 많이 느끼고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한 변화를 체험하였다. 또한, 희망돌보미 사업은 업무시간, 업무내용, 업무공간에 있어 특수성을 보인다(<그림 5>). 업무시간은 주 3~4일 근무와 비전일제 근무로 이루어지며 주요 업무내용은 환경관리이고, 업무공간은 주거공간과 가까곳에서 진행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참여자들은 개인의 삶의 맥락 속에서 다양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우선 업무시간의 경우, 하루 종일 업무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다른 일과 병행이 가능하다.

hfr-7-2-155-g5
그림 5. 희망돌보미 사업의 특성과 참여자들에게 미친 영향
Download Original Figure

참여자들은 집안일, 가족 돌봄, 혹은 다른 일자리와 병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참여자들에게 개인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주요 업무내용은 환경관리이며, 환경관리 업무의 특성은 참여자들에게 노동의 가치를 부여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청소 후 가시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환경관리 업무의 특성상, 참여자들은 다른 일자리에 비해 더 많은 만족감을 느낀다. 특히, 스스로 전문화되고 있다고 인식하기도 하며 전문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전개한다. 동시에,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경험한 환경관리의 노하우를 적용하고자 노력한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주거공간과 가까운 곳에서 진행되며, 이러한 지리적 특성은 참여자들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가까운 곳에서 업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참여자들은 출퇴근 시간이 짧아 집안일, 가족 돌봄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참여자의 경우, 출퇴근을 위한 교통비가 들지 않는 경제적 이점을 논의하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SH공사 임대주택 안에서 노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웃과의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참여자들은 이웃들의 칭찬과 격려를 들으며 노동의 가치를 제고하고 동기부여를 얻는다.

희망돌보미 사업의 특성과 이에 관한 참여자들의 경험은 고령 세대의 공공일자리사업 발전방향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령 세대 일자리사업에 희망돌보미 사업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적용하여 참여자들은 집안일, 가족 돌봄 등과 같은 삶의 맥락 속에서 일자리 진행을 병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주는 것을 제언한다. 우선 업무시간에 있어 비전일제 근무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경제적 부분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낸 참여자들이 다수 있었기 때문에, 전일제와 비전일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선택적 시간제’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업무내용에 있어서는 환경관리와 같이 전후 모습을 즉각적으로 비교하며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업무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희망돌보미 사업은 참여자들의 삶의 맥락 속에서 집안일, 아이 돌봄 등과 노동 병행이 가능한 일자리 모델로서 참여자들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다. 높은 만족도는 희망돌보미 사업이 지니고 있는 업무시간, 내용, 공간의 특성에서 비롯되었음을 심층면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고령 세대 일자리사업에도 이러한 희망돌보미 사업의 특성을 적용하여 삶과 노동이 공존하는 일자리 모델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LH 공사 등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기관이 중심이 되어 일자리사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야할 것이다. 이를 통해, 중장년 및 고령 세대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은 노동을 통한 만족감을 느끼는 동시에, 일상생활의 변화, 내적 만족도 제고 등의 가치를 탐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러한 주택단지와 연계된 일자리 사업은 국내 주택정책의 차원에서도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국내의 주택정책은 대부분 공급자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택 입주자 측면의 정책 및 제도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임병권, 2018). 일자리 사업은 입주자의 수요를 이끌어내는 주요 인센티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택단지 내 일자리 사업은 입주민들의 기초적인 경제활동을 보장하는 제도로 작용하며 인프라 시설 (서비스)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한국의 주택공급은 인프라 시설 구축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지 못해 기존 주민들과 타지 주민들의 만족감을 높이며 해당지역으로의 유입 유도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한동호, 2018), 이러한 일자리 사업 모델은 주택정책 설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마지막으로, 해외에서는 이미 주택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놓았다. 예를 들어, 미국 시카고,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즈주, 영국 런던 등에서는 취약계층을 위한 의료서비스 제공, 취등록세 감면, 주거비 지원 등의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전성제, 2023). 주택단지와 일자리 사업을 연계하는 시도는 입주민들의 지원정책 일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Notes

* 이 연구는 서울특별시 50플러스재단 2021 50+당사자연구 연구보고서 "희망돌보미 사업 참여자가 느낀 일의 가치와 일상생활의 변화"를 수정 및 보완하여 작성되었음.

* This study was prepa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research report "The Value of Work and Changes in Daily Life of Participants in the Hope Caregiver Project" of the 50+ Foundation of Seoul 2021.

1) 요양보호사와 아이돌보미의 경우, 정부의 돌봄 분야 일자리사업 지원을 통해 진행.

참고문헌

1.

간순옥. (2013).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대한케어복지학, 19, 4-24.

2.

강수향, 김지선. (2021). 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 경험을 통한 일의 의미. 인문사회21, 12(2), 705-720.

3.

고현범. (2011). 직업과 자아실현: 직업관과 노동윤리를 중심으로. 생명연구, 19, 49-81.

4.

김영천. (2016). 질적연구방법론 Ⅰ: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5.

김윤중, 하서진. (2020). 서울 공공임대주택 소요가구 특성 및 시사점. 주택금융리서치, 12, 4-18.

6.

김인숙. (2016).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서울: 집문당.

7.

김정화, 이현석. (2021). 사회적 지속가능성 실현을 위한 임대주택 정책에 관한 연구: 미국 하와이주 저렴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주택금융연구, 5(2), 21-60.

8.

서울특별시. (2019). 서울특별시 장년층 인생이모작 지원에 관한 조례. 서울: 서울특별시.

9.

서울특별시 SH공사. (2016). 2016년도 희망돌보미 사업 추진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SH공사.

10.

서울특별시 SH공사. (2019). 2019년도 희망돌보미 사업 추진계획(안). 서울: 서울특별시 SH공사.

11.

서울특별시 SH공사. (2020). 2020년도 희망돌보미 사업 추진계획(안). 서울: 서울특별시 SH공사.

12.

서울특별시 SH공사. (2021). 2021년도 희망돌보미 사업 추진계획(안). 서울: 서울특별시 SH공사.

13.

안희란. (2018).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참여경험 연구. 보건사회연구, 38(3), 458-491.

14.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개정판). 서울: 박영스토리.

15.

이경희. (2017). 고령자의 근로시간 형태와 생활만족도 분석. 산업연구, 1(1), 136-168.

16.

이민정, 김정현. (2020). 경력단절 경험을 가진 50+여성의 창업 경험. 서울: 서울시50플러스재단.

17.

이병길, 김영석. (2019). 해외 사례로 본 50+세대의 경험일자리 제안에 관한 연구. 서울: 서울시50플러스재단.

18.

이소정. (2013).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노인복지연구, 59, 331-354.

19.

이은숙, 정지영. (2018). 50+세대 퇴직여성의 진로전환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서울: 서울시50플러스재단.

20.

임병권. (2018). 국내 사회주택 공급현황과 지원정책에 관한 사례연구. 주택금융연구, 2, 93-108.

21.

장연우, 임해영. (2021). 독거노인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생명연구, 59, 69-108.

22.

전성제. (2023). 해외 주요국 및 도시의 장기주택계획 비교분석 연구. 주택금융연구, 7(1), 67-100.

23.

조옥라. (2006). 중장년 여성 노동자의 노동경험: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저학력, 고연령 여성 노동자들의 노동과 가족관. 사회과학연구, 14(2), 220-262.

24.

한동호. (2018). 영국의 최근 주택정책 동향과 금융지원 사례연구: 주택·인프라시설 기금을 중심으로. 주택금융연구, 2, 67-91.

25.

Bogdan, R., & Biklen, S. K.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5th ed. London, UK: Pearson.

26.

Merriam, S. B., & Tisdell, E. (2015).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4th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7.

Saldaña, J. (2009).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Los Angeles, CA: SAGE.

28.

Strauss, A.,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Thousand Oaks, CA: SAGE.

2024년도 하반기 주택금융연구 논문 공모 안내

2024년도 하반기 주택금융연구 제8권 2호에 게재될 논문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주택금융 분야에 관심 있는 연구자분들의 많은 관심과 투고를 부탁드립니다.

□ 접수마감: 2024.10.22.(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공지사항을 참고하여, 반드시 정해진 양식으로 업로드해주시기 바랍니다.

 

공지사항 (클릭)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
2023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이 발간하는 학술지인 '주택금융연구'가
한국연구재단의 2023년도 신규 등재후보학술지로 선정되었습니다.

등재후보지 선정을 위해 수고하고 애써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를 드리며,
아낌없는 헌신과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좋은 원고 투고를 부탁드리며, 등재학술지로의
승격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 기사 링크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